본문 바로가기

C언어/기초문법

[C 기초] printf로 정수 출력하기

 좋아요! 저번에는 문장을 출력했죠? C언어에서는 문장을 문자열 (문자들의 배열)이라고 불러요.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문자열만 있는게 아니죠.

오늘은 printf로 문자, 정수, 소수 같은 친구들을 출력할 거에요! 전에 언급했듯 printf는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니깐. 

 

일단 정수부터!

 

하지만 숫자를 그냥 출력하긴 재미 없는뎅... 숫자를 어디에 저장하고 출력해보는 건 어떨까요?

컴퓨터에서는 이렇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줘요. 이걸 변수라고 합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int a;
    a = 10;
    printf("%d", a);
    
    return 0;
}

정수형 변수 선언

자 정수를 출력해봅시다! 먼저 int a가 눈에 들어오네요. 하나씩 뜯어보면 int는 정수를 뜻하는 영어 integer에서 온 것이고, a는 우리가 쓰고 싶은 변수의 이름이에요. 이 a는 원하는대로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t b, int threepeople, int howoldareyou 같은 것들이 가능하죠. 하지만 여기에는 몇가지 규칙이 있어요.

  1. 이름 중간을 띄어 쓸 수 없습니다. int how old are you 이렇게는 안된다는 거죠. 컴퓨터가 저걸 따로따로 인식해버려요...
  2. 특수문자 불가능! int how-old!are*you같은 건 안돼요...
  3. 하지만 _(언더바)는 가능! int how_old_are_you 가능!
  4. 변수 이름 시작을 숫자로 할 수 없습니다.int 3people은 불가능, int people3는 가능!

이렇게 선언한 정수형 변수 a에 정수 10을 넣어줍니다. 이 때 등호(=)는 우리가 수학에서 쓰는 '같다'의 정수가 아니라, 대입한다는 뜻입니다. 왼쪽(a)에 오른쪽 값(10)을 대입한단 의미죠.

 

정수형 변수의 값 출력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대입했으면 이제 출력을 해서 확인해야겠죠?

printf("%d", a);

 

 

printf는 형식에 맞게 출력해준다 했죠? 이 때 포맷을 printf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정수는 %d로 알려줍니다. d는 decimal(십진수)의 의미에요. 이 문자열 뒤에 출력할 값을 가진 변수를 써주면 됩니다.

 

여러 개의 값을 모두 출력할 수도 있어요!

int age = 20; //한 번에 선언과 대입도 가능
printf("나의 나이는 %d살이고, 대학교 %d학년입니다.", age, 1);
// 출력 결과 : 나의 나이는 20살이고, 대학교 1학년입니다.

이렇게 말이죠. 여러분도 다양한 값을 가진 문자열을 출력해보아요!

'C언어 > 기초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기초] printf로 실수 출력하기  (0) 2023.06.27
[C 기초] Hello, World! - 화면에 출력하기  (0) 2023.06.22
[C 기초] 시작!  (0) 2023.06.22